실험실에서 cel 파일을 읽은 결과 즉 Analysis Result 폴더를 보내주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굳이 다시 cel 파일을 읽을 필요가 없다. 여기서는 실험실에서 보내준 Analysis Result 폴더를 읽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참고로 실험실에서 Analysis Result를 보내 주더라도 cel 파일과 registration 파일은 챙겨두도록 하자. 쓸모가 많다.

 

 

 

참고 글

https://blog.naver.com/iq6000/223727830334

 

20250116_Axiom Analysis Suite 메뉴얼 (부록) - 실험실의 지노타입 다운로드 결과 폴더를 불러오는 방법

실험실의 지노타입 다운로드 결과 폴더를 불러오는 방법 실험 의뢰 시, 받을 수 있는 지노타입 다운로드 결...

blog.naver.com

 

실험을 하고 나면 실험의 결과로 cel 이란 확장자를 가진 파일들이 만들어 진다. 1개체 당 1개의 cel 파일이 만들어진다. 실험실에 cel 파일의 이름을 어레이타입_어레이바코드_어레이위치_개체번호 형식으로 해달라고 하면 해준다. 요구사항이 없으면 실험실 자체 규약대로 해준다. 이렇게 cel 파일의 이름을 정하면 경험상 관리가 편리할 것으로 보인다. 원하는 형식이 있다면 원하는 형식대로 해도 된다. Axiom Analysis Suite로 cel 파일을 읽어서 genotype을 결정하게 된다.  cel 파일을 읽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cel 파일 이름 권고 관련 참고 

https://blog.naver.com/iq6000/223645865305

 

20241104_Axiom Analysis Suite 메뉴얼 (1) - 써모피셔 기반으로 실험을 의뢰할 때 알아야 할 점

Axiom Analysis Suite(AxAs) 이용 매뉴얼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분석기술을 사용하면 짧은 시...

blog.naver.com

 

참고 글

https://blog.naver.com/iq6000/223727617931

 

20250116_Axiom Analysis Suite 메뉴얼 (6) - CEL파일 불러오기 & 지노타입(Genotype) 확인하기

CEL파일 불러오기 아래 그림은 “Axiom_BovMDv3” 마이크로어레이로 실험한 30개의 CEL 파일이며...

blog.naver.com

 

커스텀 칩과 같은 경우 Axiom Analysis Suite의 Preferences에서 Library를 설치할 수 없다. 분석기관에서 제공한 Library를 이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압축을 풀고 Library 폴더에 복사하면 된다.

 

 

 

참고 글

https://blog.naver.com/iq6000/223727514091

 

20250116_Axiom Analysis Suite 메뉴얼 (4) - AxAs 실행 및 Library 설치와 적용

1) AxAs 실행 AxAs 아이콘을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 프로그램을 처...

blog.naver.com

 

Axiom Analysis Suite로 cel 파일을 읽어 오는데, 지금 읽고 있는 cel 파일이 뭐다라고 설명해 주는 파일(or 폴더?)이 Library 이다. 예를 들어 소 칩 cel 파일을 읽는 경우에는 Axiom_BovMDv3.r2 library가 필요하고, 돼지 칩 cel 파일을 읽는 경우에는 Axiom_PigHDv1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Axiom Analysis Suite에서 필요한 Library를 선택하고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참고 글

https://blog.naver.com/iq6000/223727514091

 

20250116_Axiom Analysis Suite 메뉴얼 (4) - AxAs 실행 및 Library 설치와 적용

1) AxAs 실행 AxAs 아이콘을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 프로그램을 처...

blog.naver.com

 

Axiom Analysis Suite 프로그램은 cel 파일을 읽고, genotype을 결정하고, genotype을 분석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txt, vcf, plink 등)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일루미나 사의 GenomeStudio가 출력하는 Final Report 형태로 출력하는 기능은 없다. 그래서 Final Report 형태로 출력하는 외부 프로그램이 필요했고, 그 프로그램이 바로 Axiom Long Export Format Too이다. 나중에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할테니 우선 설치부터 해 보자.

 

 

 

참고글

https://blog.naver.com/iq6000/223727472278

 

20250116_Axiom Analysis Suite 메뉴얼 (3) - 써모피셔 프로그램 설치(AxAS, AxLE, SSP Tool)

자체적으로 CEL파일을 읽어야 할 때를 대비해서 지노타입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과 지노타입 확인...

blo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