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Ouput Fomat을 TXT로, Call Output Format을 Call Code 형태로 Genotyping Data를 다운로드 하자. Call Code 형태라는 것은 Genotype을 A, T, G, C의 형태가 아닌 A/B 형태로 다운로드한다는 뜻이다.

 

 

Axiom Analisys Suite가 cel 파일을 읽어 genotype을 결정하였다. 이 genotyping data를 다운로드 받아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는 TXT 포맷, 그 중에서 Forward Strand Base Call 방식으로 genotyping data를 다운로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참고 글

https://blog.naver.com/iq6000/223727659265

 

20250116_Axiom Analysis Suite 메뉴얼 (9) - AxAs에서 지노타입 자료를 다운로드하는 방법(txt 포맷)

txt 포맷 txt 포맷은 Call output Formats를 정할 수 있다. Call output Formats는 Forward Stand B...

blog.naver.com

 

genotype을 결정하였으면 분석을 위하여 다운로드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 이때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으면 개체의 이름으로 cel 파일 이름이 출력된다. 난감한 상황이다. 여기서는 genotype을 다운로드할 때 개체의 이름으로 cel 파일 이름이 아니라 우리가 입력한 이름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실험실에 cel 파일 이름을 어레이타입_어레이바코드_어레이위치_개체번호 형식으로 만들어 달라고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el 파일 이름이 이런 형식으로 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쉽게 개체 이름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A2 cell 있는 cel 파일 이름을 잘 살펴 보면 네 번째 "_" 다음에 개체 번호가 시작된다. 네 번째 "_"의 위치를 찾아내는 함수는 =FIND("~", SUBSTITUTE(A2,"_","~",4))+1 과 같다. 네 번째 "_" 를 "~"로 바꾼다음 "~"의 위치를 찾는 함수이다. 그리고 개체 번호 다음 문자가 "."인데 이것의 위치를 찾아내는 함수는 =FIND(".",A2)이다. 개체 이름은 =MID(A2,C2,D2-C2) 함수로 추출할 수 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Sample Filename 열과 Alternate Sample Name 열만 출력하여 필요한 파일을 만들면 된다. 동영상에선 간단히 개체 이름을 입력하지만 실제에선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참고 글

https://blog.naver.com/iq6000/223727634247

 

20250116_Axiom Analysis Suite 메뉴얼 (7) - 지노타입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사전 작업 (개체의 이름으로

(AxAs) 개체의 이름으로 변경하는 방법 다운로드하기 전에 지노타입 개체의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blog.naver.com

 

+ Recent posts